닷지크롬 dodge chrome 토르 Tor .. : 네이버블로그
P2P 우회접속 목록열기 (19) |
어제, 기가비트인터넷의 상용화가 시작되었습니다. 다만, 한달 100GB로 용량제한을 한다고 하더라도 아무래도 전세계 인터넷 트래픽의 40% 를 한때 점유했던 토렌트망을 그대로 놔둔다는건 불안한 마음이 통신사 입장에선 들수밖에 없었겠죠. 그래서, 기가비트인터넷의 상용화와 동시에, KT SK 등 인터넷사업자들이 정부의 유해정보차단사이트 기능을 이용해서, 일제히 bitsnoop 사이트를 차단했습니다. (영구차단일지, 아니면 기가인터넷 런칭기간의 불안정한 시기동안 임시차단일지, 잘 모르겠습니다.) *ps 4share는 또 어딘가요? 첨듣는곳이 이번에 같이 차단된거 같네요. 찾아보니 mp3쪽인듯? 사실 토렌토시드를 구할수 있는곳이 bitsnoop뿐인것은 아닙니다. 수많은 다른 검색사이트가 존재하고, 구글 자체에서 구글링 하셔도 되고, 돈 좀 있으시면 시놀로지 같은 NAS를 구매하면, NAS자체에서 검색기능을 제공해 주기도 합니다. 다만 편리해서 그냥 bitsnoop를 썻던것 뿐인데, 어쨋든 막혔으니, 대안을 검색해 봤는데, 수많은 대안이 존재하지만, 비트스눕을 계속 이용하길 고집한다면, 최고의 해법은 아니더라도, 닷지크롬 을 쓰는것도 한 방법이었는데, 2015년1월 년초에 KT에서 닷지크롬까지 막았네요. ㅋ ( 우회방법은, 다른 방법도 많이 있고, bitsnoop 에서 제공하는 프록시서버를 이용하는게 더 간편;;) 그래도 닷지크롬을 한번 테스트 해보실분은,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으시면 되고, 신버전이 2월에 나온걸 보니, 1월에 KT에서 막은걸 다시금 뚫으려고 노력한 버전인거 같습니다. (구버전) http://dodgechrome.blogspot.kr/2014/01/dodgechrome-310165063.html (새버전) http://dodgechrome.blogspot.kr/2015/02/dodgechrome-42023000a.html 신기하게도 한국주소네요. 설마 제작자가 한국분인가? (아래는 배포사이트의 원문) ----------------------------------------------------------------------------------------- 사용법 - C:\DodgeChrome-31\에 압축을 푼 뒤 Dodge (바로가기)실행 ----------------------------------------------------------------------------------------- 닷지크롬은 차단필터(warning.or.kr)에 걸리지 않게끔 변형한 웹브라우저입니다 우회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속도 저하가 없습니다 방식의 특성상 접속 불가능한 사이트가 다수 있습니다 (예: 이토렌트, 400 에러) 위의 이유로 이 브라우저를 단독으로 쓰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차단사이트 접속에만 이용하세요 스샷에 보시다시피, KT에서 2015년 년초에 막기 전에는 닷지크롬을 통해 비트스누프에 접속이 잘 됬었습니다. 그리고, crome 브라우저를 따로 설치할 필요는 없고, 그냥 닷지크롬 설치파일에 크롬브라우저까지 몽땅 다 들어잇네요. 그리고 인스톨러 방식으로 배포되는것도 아니고, 그냥 압축풀면 바로 사용가능한 형태로 배포되더군요. 실행은 dodge 단축아이콘을 사용합니다. (바탕화면에 하나 빼놓으셔도 됩니다.) *ps 2015 01 14 간만에 닷지크롬을 실행시켜봤는데,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알아보니까, KT에서 지난 1월 13일에 패치를 해서 막았다는 소리가 있네요. ..하지만 머, 방법이 닷지크롬만 있는건 아니니까. ㅋ ------------------------------------- *ps 프록시나 ip우회기능을 하는 프로그램들은, 사실 허다하게 많습니다. 그런것들중에 유명한것을 쓰셔도 상관없을거 같고, 본인 편한거 선택하기 나름인거 같네요. 여러가지 대안들 1. dns서비스를 comodo secure dns 로 바꾼다.(해봤는데 안됨; . comodo 방화벽회사의 프로그램. ) 2. 토르 브라우저 등을 쓴다. (전쟁터에서 미국군인들의 데이터 보안을 위한 미해군 발주 프로그램) 3. 울트라서프 등 ip우회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중국을 목표로한 민주주의 인사 지원프로그램) 4. 닷지크롬 을 쓴다. > 2015년 1월? 에 KT에서 차단 5. 시놀NAS를 구매해서 내장된 검색기능을 쓴다.(돈있으면 이게 가장 편리한 대안일듯. 돈없는 사람만..TT ) 6. 그냥 구글링으로 해결한다. 7. 다른 토렌트시드검색사이트를 이용한다. 8. 해외 프록시서버를 직접 세팅해 이용한다. 9. 해외소재 vpn등을 이용한다. 10. 대기업에서 서비스하는 유료사이트를 이용한다.(특히 보험사에서 사용자 개인정보를 취득목적) 11. 직접 토렌트를 쓰지 말고, 웹하드 사이트를 이용한다. (.. 주로 대기업 보험사 협찬..) 12. bitsnoop 측에서 제공하는 우회접속용 프록시서버 주소링크를 이용한다. http://bitsnoop.com.prx2.unblocksit.es/ (가장 초간단한 방법, 봇방지절차가 필요함) 13. qBittorrent 를 사용한다.(광고없는 공개진영 버전으로, 자체검색기능의 Python 을 추가설치하면 검색도 가능해집니다. 14. 구글크롬에서, 도구(더보기)>확장프로그램>.. 으로 들어가면 Chrome웹스토어 로 이동되는데, 거기서 일단 구글계정으로 로그인(필수)부터 한뒤에, ZenMate를 검색해서 그걸 설치하라고 하더군요. 그런데 해봐도 zenmate가 목록에 나오질 않습니다.--;;(이거 구글에서 젠메이트를 한국사용자는 설치 못하게 필터링 시작했다고 벌새님 블러그에 쓰여있네요. 진짜 구글 황당하네요.) 그래서, 구글과 싸울거 없이, 그냥 제작사 배포사이트인 https://zenmate.com/ 에 직접 가서, 직접 받아 설치하는게 속편한듯.(젠메이트는 동영상이 차단된 사이트 이용에 장점이 있나 봅니다.) 15. http://piratebrowser.com/ ..아예 pirate 라는 토렌트 사이트에서, 자체브라우저를 만들었네요. Tor의 기술을 조금 가져다가 파이어폭스 브라우저를 약간 손본 모양입니다.; 검열을 피할 목적뿐이라서, 토르보다는 기술수준이 떨어진다고 합니다. 즉 완전한 익명사용은 안된다고 하네요. 16. http://www.tribler.org 트리블러 라고 하는, 토르위에서 돌아가는 토렌트가 있네요. ㄷㄷ 브라우 저가 아니고, 트리블러 자체가 토렌트 프로그램입니다. 검색기능이 포함되 있구요. 그런데 ..머 사용방법을 잘 모르겠습니다. 검색어를 넣어봐도 결과나오는게 몇개 안되요. ㅋ 연구가 필요한듯. 기존에는 검색만 토르로 하고, 다운받는건 매냥 원래의 네트웍상에서 토렌트 쓰는게 동일했기에, 토렌트 쓸때는 ip가 그냥 노출되서, tor사용자들에게 익명을 보장받으려면 토렌트를 사용하지 말라 는 말도있었는데, 이건 머.. 그냥 토르 위에서 토렌트를 돌려버리다니.. ㄷㄷ대신 느리다고 합니다. 잠깐 테스트 해봤는데, Tribler 는 실제 이용하긴 어렵겠네요. 익명성의 레벨을 조절할수 있는데, 속도중시인 0레벨일때 2.2MB/s 나오던 다운로드가, 1레벨로 고작 1단계 올렸음에도 0.4KB/s 로 속도가 떨어져 버립니다.;;; 이정도면.. 거의 이용 불가능인거 같네요. 더구나 컴퓨터에 찌꺼기만 남고;; 트리블러의 설치는 비추합니다. *ps 2015 02 01 17. 헐... 우분투 설치해 보다가, 우분투 위에서 돌아갈 프로그램이 머가 있을까 싶다가, emule이 생각나서, 무심코 www.emule.com 을 입력했더니, www.emule-project.net 이 아닌 다른 싸이트더군요. 이게,, 아마도 신용사기 프로그램인것 같습니다. 프로그램 자체는 비트디펜더 나 malwarebytes 에서도 검출되는게 없을만큼 깨끝하긴 한데, 단 한가지 기부(Donate)단추를 달아놓고 기부금을 빼돌린다는것..; 프로그램은 emule + qbittorrent + Python 인거 같네요. 검색엔진기능을 담당하는것이 Python 인데, 화면이 Qbittorrent + Python 하고 동일한듯 보입니다. ㅎ 이거 쓰면 편리하긴 하겠지만; 아무래도 신용사기관련 프로그램은 근처에 안가는게 좋겠네요. 그냥 Qbittorrent 하고 emule 을 조금 불편해도 따로 쓰시길. . . . 찾을때마다 또다른 방법이 인터넷에서 검색되네요.;;; 이게 대체 몇개야.. ㄷㄷ (차단 몇일만에 고수님들이 혼자만 알고 쓰시던 각종 방법들이 인터넷에 쏟아져 나오는군요. 이거 정리하는것도 한 재미 하는거 같습니다.) 방법은 정말 허다하게 많은데, bitsnoop는 일종의 토렌토 쪽의 대표적인 검색사이트였던터라, (특히 토렌트는 미국에서 많이 쓰는 p2p라서) 한국에서만 막혔다는게 참.. 여러모로 시사점을 많이 줍니다. 사실 돈만 있으면, 안되는거 없습니다. 시놀NAS사서 쓰면, bitsnoop은 아예 이용할 필요 자체가 없으니까요. 이번 차단되는것도 돈 없는, 시놀NAS 없는 사람들이나 토렌토 이용을 못하게 만든거죠. ㅋ 그래서인지 부자나라치고 빗수눕 차단하는 나란 없는듯. 그런데 우리나라는 돈많은 나라 아닌가 봐요. ㅋ 사실 선진국들은, 대부분 자체개발한 p2p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토렌토 자체가 미국꺼고, 일본도 위니? 라는 자국산 p2p프로그램을 대세로 쓰고 있습니다. 유럽은 당나귀 이뮬? 그럼 한국에서만 왜이렇게 차단질이냐면, 그건, 문화재를 소비만 할뿐 생산을 못하는 나라이기 때문이 아닐까 싶네요. 수입국가이기 때문이죠. 이경우는 수입상들의 입김(차단요구)이 쎌수밖엔 없습니다. ----------------- 실제 우회 화면. bitsnoop 가 차단된 현 시점에서도, 토르브라우저(https://www.torproject.org/ ) 를 사용시엔 접속이 됩니다. 단지, 닷지크롬보다는 느려요..;; Orz (제대로 정석대로 FM대로 우회시켜 주는 프로그램일수록 느릴수 밖엔 없죠;) 하지만 어쨋든 .torrent 파일 하나만 다운받는데는, 느려도 별 상관 없다는.. ; 토르는 FireFox기반의 브라우저이기때문에, 파이어폭스를 좋아하시는 분들은 토르가 잘 맞을듯 싶습니다. 또한 현재 우회용 프로그램중에는 가장 인정받는게 토르 이기도 하구요.(모르죠; NSA가 토르 도 들여다 보고 있을지도;; 토르사용자 추적기술은 러시아가 현상금 걸고 찾고있고, 토르차단기술은 이미 몇개 국가는 어렵지만 가지곤 있다고 합니다.) comodo secure DNS 로 공유기에서 세팅한뒤, MS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테스트해본것인데, 이쪽은 안되네요. TT 해외DNS를 쓴다고 해서 우회가 되는건 아닌가 봅니다. secure DNS는 그냥 악성코드배포사이트를 필터링만 해주는 시스템일뿐, 차단사이트를 우회하게 해주는 시스템은 아닌거 같습니다. 머.. comodo에서 제공하는 샌드박스 상에서의 드래곤브라우저? 까지 띄워 테스트한건 아니라서.. 어떻게 어찌어찌 잘 아는분이 세팅하면, comodo를 통해서도 가능할지는 모르겠습니다. (그쪽은 너무 복잡하게 느껴져서 호기심도 안드는 분야라;; 저로서는 포기;) Zzzz 고작 반나절만에, 호기심에 져서;; 4년전에 잠깐 접했던 골동품인 울트라서프 까지 재 설치해봤습니다. Orz 울트라서프는 웹브라우저에 독립적인 별도의 프로그램입니다. 그러다 보니, 꼭 웹서핑이 아니더라도, 여러가지 수단으로 응용이 가능합니다. 그래서인지, 위험성이 높은 프로그램으로 특히 서구쪽 안티바이러스백신을 제조하는 회사들에서는 분류해서 잡아대고 있습니다.--;. 독립적이다 보니, 위 스샷에 보듯이, 인터넷익스플로러 를 써서도 bitsnoop 에 접속이 잘 되네요. MS사의 인터넷익스플로러 IE를 쓰기를 고집하신다면, 아마 울트라서프가 정답이지 싶습니다. 울트라서프를 통해 크롬이나 기타 브라우저도 당연히 사용할수 있긴 한데, 단지, 몇가지 (사용후 쿠키 자동삭제 같은)부가기능은 수동설정 하셔야 하기에 귀찮거든요. 아마 IE가 대세인 시절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라서 그런듯 싶습니다. (저~기 아래에 한가지 더 간단한 방법이 소개되고 있긴 합니다만 그건 제약이 있네요.. ;; ) 아참. 울트라서프의 공식 배포사이트가, 4년이 지났더니, http://ultrasurf.us/ 으로 변경된 모양입니다. (아니면 4년전엔 제가 잘못알고 있었던가;;; ) 울트라서프 현재 신형버전은 1405 이고 참고로, 울트라서프도 정석대로 작동하는 프로그램이다 보니, 좀 많이 느립니다. 이것은 ZenMate 를 설치한 크롬브라우저로 접속한 화면입니다. 도구더보기>확장프로그램.. 으로 찾아가서 설치하는건, 로그인절차 까지 진행해봐도, 구글앱스토어 쪽에서 한국인은 젠메이트를 설치 못하게 필터링걸고 방해해서, 더이상 설치진행이 안되서 포기했고,(구글 너 미워해주겠어!!!!) zenmate배포사이트(https://zenmate.com/ ) 에서 직접 받아 설치했는데, 그 과정에도 무슨 암호설정과정이 있네요. 머에 쓰는 암호인지.. 어쨋든 위 스샷 보시면, 우측위 귀퉁이에 녹색방패모양의 것이 바로 ZenMate입니다. 그 방패모양을 클릭해 보시면, 우회를 위해 경유하는 해외국가를 변경할수도 있습니다.(기본값은 홍콩) 이 ZenMate를 쓰는 방법이 크롬에 내장되는 플러그인 형식이라서 (동영상 등) 호환성이 높다고 하네요. 젠메이트는 꼭 크롬 아니더라도 FireFox 와 Opera 브라우저에도 설치 가능합니다. ( IE 는 지원 안하네요.--;. 췟! ) 그리고.. 느려집니다.--;. 인터넷익스플로러에서, Bitsnoop 에서 제공한 우회접속용 프록시서버의 주소( http://bitsnoop.com.prx2.unblocksit.es/ ) 로 접속한 모습. 인터넷익스플로러 사용자로서 울트라서프까지 쓰는 구찮은 일 없이도, bitsnoop 에 접속가능한 방법이 있었군요. 다만 이것은 bitsnoop쪽에서 미리 준비해 제공해주는 방법이지, 외부에서 개척해 찾아들어가는 방법은 아니죠. 훔.;; 아무래도 이방법이 최고의 권장 이용방법이 될듯.; bitsnoop처럼 프록시접속주소를 제공하는 사이트만 이용가능한 방법이긴 하지만, 지금 당장으로서는 닷지크롬처럼 속도저하가 없으면서도 닷지크롬보다 더 간단하긴 하네요. ㄷㄷ (프록시주소까지 정부에서 차단할수도 있긴 합니다.) *ps 2015 01 15 닷지크롬이 잠시? 막힌 기념으로;; 또 무슨 방법을 인터넷고수님들이 찾아놓았나 검색해 봤더니, 또있네요. 진짜 파면 팔수록 나오는듯. ㄷㄷ PirateBrowser 입니다. pirate라고 하면 토렌트배포사이트인데, 아예 직접 파이어폭스 기반에 토르기술을 살짝 섞은 브라우저를 내놨더군요. Tor하고 달리 완전한 익명보장은 안되고, 그냥 차단싸이트를 돌아다닐 수 있다.. 정도인거 같습니다. 대신에, Tor보다는 빠르게 작동한다고 하네요. 보시는바대로 잘 작동합니다만, 키보드에서 왼쪽art키를 누르면 상단에 메뉴창이 뜨는데, Tools>FoxyProxy Standard 로 들어가셔서, Use proxy "Tor" for all URLs 로 바꿔주세요. 그래야 접속이 됩니다. 기본상태로는 바쁘다면서 접속 안시켜 주네요;;; 한가지 웃기는건, bitsnoop사이트는 잘 접속되면서, 정작 ThePirateBay사이트는 접속이 안되네요. ㅋ Vidalia는 먼지 잘 모르겟습니다만, 전에 들어본거 같기도 하고.. 비달리아의 결과물이 Tor였던가??. 제가, 시놀NAS도 없고;, 해외근무회사원도 아닌지라 이용가능한 해외vpn이나 프록시 아는곳도 없어놔서(사실 vpn과 프록시를 써본 경험 자체가 없다는;;), 일단 위에 스샷올린 몇가지 방법만 테스트 가능하네요. ----------------------- 음.; 머 많은데, 방식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좀 더 자세히 알고싶어 집니다. 방식의 차이를 정리해보자면, (우측으로 갈수록 고도의 기술?, 좌측으로 갈수록 쉽게 차단될수 있음) 토르 는 미군에서 전장에서 인터넷 이용하는 자국 군인들의 위치정보 보호를 위해 만든 패킷분산을 통한 위치정보를 특정하지 못하게 방해하는, 패킷분산시스템이고, 토르를 실행하는 다른컴퓨터(노드)를 거칠때마다 공개키기반으로 패킷암호화가 반복해 이뤄지므로, 최초출발지와 최종목적지를 (전세계에 흩어져 있는 모든 노드를 검열하지 않는한) 알기 어렵다. (단 최종출구노드와 서버사이에는 암호화가 없음에 주의. https 에 접속시엔 최종연결도 암호화됨) 언론인 기자 등이 신변보호를 위해 활용하기도 하지만, 토르 역시 조금은 오래된 기술로, 중국이나 에티오피아 등의 정부는 토르사용자를 추적하는 기술과 의지(노드 전수감시)를 가지고 있다고 함. VPN은 거쳐가는 프록시서버에 로그가 남지만, 토르는 로그를 남기지 않고, 토르사용자끼리 속도를 도와주는 기능도 있다고 함. 패킷전달시 임의의 딜레이를 넣는 기술이 추가되서, 노드간의 거리를 추정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짐. Tor사용자들끼리 패킷전송이 되는 네트웍을, 프로그래밍된 DNS패치를 통해 3중 4중으로 보호하는데, 이 때문에 Tor사용자만 접속가능한 인트라넷(딥웹)이 형성되어있다고 함. 토르는 심층패킷검사(DPI) 기술로 원천 차단 가능하다고 함. 한국도 Tor차단시도국가중 상위권에 속함. by 엔하위키 https://mirror.enha.kr/wiki/Tor 울트라서프 는 중국사람들의 서구사이트 접속을 돕기 위해 만들어진 태생탓에 매우 공격적인 국가규모기술단위의 프록시 ip 우회툴 이라고 할수 있고, 그 탓인지 (특히 서구)백신에서 위험파일로 진단하는 경우가 많음. 아마도 브라우저에 독립된 독립프로그램이라는 특성탓에, 오용되는것을 두려워 하는듯. PirateBrowser 는 토르+Vidalia+Foxyproxy 를 섞은 파이어폭스기반의 짬뽕브라우저. pirate bay 에서 직접 만든 우회 브라우저. 로 토르와 다르게 익명보장은 안되는 대신, Tor보다는 빠르게 작동함. ZenMate 는 구글크롬에 추가설치하는 확장프로그램 형태로, 내장프로그램인 만큼 특히 동영상쪽에 호환성이 높다고 합니다. 방식은, ip우회는 맞는데, 국가단위로 우회를 시켜줍니다. 그러니까 한국에서 쓰면 한국이 아닌 홍콩이나 다른 나라로 경유해 접속하게 해줍니다. (아마도 중국정부의 검열을 피해 중국에서 홍콩으로 옮긴 구글서버에 접속을 원활하게 하기위한 지원프로그램 성격이 강한듯;). 그런데 분위기가, 구글이 한국인의 ZenMate설치를 방해하는 거 보면, 아무래도 구글크롬에 zenmate를 설치하진 말고, 파이어폭스나 오페라에 설치해 이용하는게 좋을듯..;; 닷지크롬 은 한국의 Warning을 피해갈 목적으로, 패킷의 헤더부분을 닷지크롬에서 직접 조작해, 검색어를 늘려쓰는 방식으로 인식가능하게 한다던가? 하여간 잠깐 흘려 읽은거라 확실친 않은데, 닷지크롬은 ip우회(프록시)가 아니라, 검색어 인식방식을 변형하는 시스템이라서, 속도가 느려지지 않는다고 들은거 같습니다. (우리나라의 warning차단사이트의 작동방식이 헤더를 건드린다는거 같습니다. 닷지크롬은 그걸 직접 하는것으로 회피) 나중에 다시 보게 되면 좀더 내용을 보완해두겠습니다. 어쨋든 2015년 1월부로 KT에서 차단하는바람에..;; 사용불가된듯. ( *ps 2015 02 18 http://blog.naver.com/sankenan/220269540341 에 원리가 설명되 있네요. ) http://bitsnoop.com.prx2.unblocksit.es/ 는 그냥 bitsnoop쪽에서 제공해주는 프록시 서버 이군요.;. 이런거까지 제공해 주는 편의를 봐주다니. 헐~ 가장 간단하고 쉬운 방법으로 강추! 그런데, 제 기억으로는, 스팀에서 구매시 울트라서프로 우회해서 로컬국가를 속이는것은, 막힌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토르 역시 대세라 여겨지긴 하지만 완전한 기술은 아니라더군요. (미군에서 완성안하고 민간으로 방출한 기술) 닷지크롬 역시 완전한 시스템이라기 보다는, 비교적 가벼운 기술이 아닐까 싶고.. 하여간, 나쁜짓엔 쓰지 마시길. 범죄자는 전문가들이 다 찾아낸다고 합니다. --------------- 고작 이틀 검색해본것 치고는, 너무 많은 우회방법이 찾아지는듯.;; 그래도 과정중에 배우는것도 많고 맛도 있으니 더 찾아볼까요? ㅋ --------------------- *ps 2014 11 23 모바일앱(안드로이드) 쪽을 찾아봤습니다. 기존에 transmission 하고 연동해 쓰던 앱이 전부 작동불가가 되는 바람에.;; ( 제가 기존에 쓰던 검색앱은 이름이 하나같이 좀 이상하더라구요. '검색' '토큰' 머 이런식이던데;;; 하여간 전부 작동불능상태.. ) 구글의 play스토어 를 뒤져보니, 하나같이 좀;; 이상한 검색앱들만 정상작동되는 상황인지라;; 그냥 쓰긴 곤란하고, 조금 더 인터넷검색을 해보니까, 1. 퍼핀 (웹브라우저. 무료버전은 아도브플래시의 작동시간이 하루중 제한되어 있는듯?. 기본적으로 프록시작동됨. 미국제품인듯) 2. orbot (토르 의 모바일버전 프록시소켓. 추가로 orweb 이나 firfox 같은 웹브라우저 설치가 필요함) 3. 등등 이 찾아지는군요. 퍼핀의 경우 검색앱이라기보다는 그냥 웹브라우저입니다.TT transmission 에 연동되는 검색전용앱이 필요한데 곤란하네요. 머.. 기다리면 누군가 만들겠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