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자리의 별은 모두 항성? : 지식iN

|

 

별자리의 별은 모두 항성? 내공30
비공개
질문 51건 질문마감률100%
2009.02.07 08:48

추천 수 4

답변
2
조회
810

태양계에서는 육안으로 관측 가능한것이 목성정도 까지인걸로 알구요. 토성부터는 작아서 안보인다는데..

그것도 스스로 빛을내는것은 태양뿐이라, 목성까지는 태양의 반사된 빛으로 보이는거라는데요.

그럼 질문입니다.

1. 밤하늘의 별들은 어떻게 육안으로 보이는것입니까?

그럼 밤이되면 육안으로 보이는 별자리의 별들은 모두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입니까?

2. 대표적인 별자리들 중에서 우리은하에 속한것과, 다른은하에 있는것을 구분지어서 가능한 많이 알고싶습니다.

나도 궁금해요

나도 궁금해요한 질문에
대한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마이지식 > 나도궁금해요에 보관됩니다.

마이지식 확인하기

'나도궁금해요'한 질문에 답변이 달리면
바로 알려주는 지식iN앱 다운받기

닫기

의견 쓰기

질문자 채택된 경우, 추가 답변 등록이 불가합니다.

질문 재등록 설정

질문 제목,내용,디렉토리를 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수정하시면 답변을 받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수정 후 재등록을 원하시면 ‘수정 후 재등록’ 을 눌러주세요.
질문 재등록은 최대 3회까지 가능합니다.

수정 후 재등록 바로 재등록

닫기

2번째 답변

질문자 채택

re: 별자리의 별은 모두 항성?
elook26
답변채택률76.5%
2009.02.07 10:07

답변 추천하기

마이지식 > 내 추천지식에
7일간 보관됩니다.

마이지식 확인하기

확인

닫기

질문자 인사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태양계에서는 토성까지 육안으로 관측 가능합니다. 토성보다 바깥 쪽에 있는 천왕성, 해왕성 등은 망원경을 이용해야되구요.. 가끔 혜성이 등장하면 육안 관측되구요.

나머지 하늘에 보이는 건 다 항성, 즉 태양처럼 스스로 빛을 내는 별입니다.

가장 가까운 별이 알파센타우리로 4.3광년 떨어져 있는데, 남반구에서만 관측이 가능해서,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를 비롯 북반구에서 관측되는 별 중 가장 가까운 별은 시리우스인데 8광년 정도 떨어져 있습니다.

이렇게 별들이 멀리 떨어져 있다보니, 지구 자전에 따라 모두 똑같이 일주운동을 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우리 은하의 자전 때문에 수 만년 후에는 그 위치가 변하겠지만, 어제 오늘 사이에는 변화가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반면 수성~해왕성을 비롯한 태양계 내 천체들은 변화가 심해 하루하루 움직임이 눈에 띄게 다릅니다.

그래서 행성(行星)이라고 부릅니다.(밤하늘을 왔다갔다하는 별이라는 의미)

그리고, 별자리에 있는 별들은 대부분 우리 은하의 별입니다. 가장 잘보이는 외부은하인 안드로메다 은하도 육안으로는 별 처럼 보입니다. 따라서 별자리에 속한 별들은 우리 은하의 별들이고, 일부 은하가 별로 인식되어 별자리에 속한 경우가 있습니다.

elook26
중수
채택 57 (69.5%)

사진없음

입력된 URL이 없습니다.

입력된 자기 소개가 없습니다.

주요활동분야

네임카드 펼치기

네임카드 접기

의견 쓰기

그 외 1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네임카드 모두열기

네임카드 모두닫기

1번째 답변

답변

re: 별자리의 별은 모두 항성?
stom8
답변채택률81.8%
2009.02.07 10:01

답변 추천하기

마이지식 > 내 추천지식에
7일간 보관됩니다.

마이지식 확인하기

확인

닫기

1. 밤하늘의 별들은 어떻게 육안으로 보이는것입니까?

그럼 밤이되면 육안으로 보이는 별자리의 별들은 모두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입니까?

밤하늘에 있는 천체들은 몇개의 행성이나 은하, 성단, 성운을 제외하고 전부다 항성입니다.

즉, 별자리를 이루는 천체는 거의 항성이겠죠. 단, 지구에서 보이는 은하나 성단, 성운은 맨눈으로 관측할 때에는

일반 항성과 구분하기 힘들며 일반 별처럼 보이기 때문에 별자리의 일원이 될 가능성도 있겠죠.

2. 대표적인 별자리들 중에서 우리은하에 속한것과, 다른은하에 있는것을 구분지어서 가능한 많이 알고싶습니다.

하늘에 보이는 천체는 안드로메다를 제외하고 모두 우리은하에 속해있는 천체들입니다. 단, 안드로메다 은하는 은하 자체가 워낙 먼 거리에 있기 때문에 하나의 별처럼 보일 뿐입니다. 즉 안드로메다 은하를 이루고 있는 별들을 하나하나 분리해서 보려면, 현재 기술로도 어려운 고해상도의 대구경 망원경이 필요하겠죠.

답변이 됬을지 모르겠네요. 다른분들 틀린거 있으면 의견부탁드립니다.

별자리의 별은 모두 항성? : 지식iN

 

 

 

 

--===============================================================================================================================================================================

=============================================================================================================================================================

사진을 찍은게 아니라 가상도를 그래픽으로 그린 겁니다.
jewoo725
답변채택률75.8%
2003.03.30 08:53

답변 추천하기

마이지식 > 내 추천지식에
7일간 보관됩니다.

마이지식 확인하기

확인

닫기

만약 사진을 찍겠다면, 우리은하의 바깥으로 나가서 찍어야 하겠고

또 우리은하 전체를 잡아 찍을려면 다른 은하까지 나가서 찍어야 하는데, 그렇게 하기는 힘들죠.

역사상 우리은하의 바깥으로 나간 우주선도 한대도 없을 뿐만 아니라 지금 빛의 속도로 달리는 우주선을 쏜다고 해도 약 5만년 이상이 걸리니깐 어렵다고 봐야겠죠.

그러나 혹시 모르죠. 앞으로 빛의속도보다 수천배, 수만배 빠른 우주선을 발명하게 된다면 그땐 가능하겠죠.

단지, 지금 볼수 있는 사진은 사진을 찍은게 아니라 적외선으로 지구에서 관측한 자료를 이용해 분석,재구성한 조감도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은하의 모양이 100%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거의 비슷하다고 할수 있겠죠.

또한가지 재밌는 사실은, 만약 20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 은하까지 가서 우리 은하를 찍는다고 해도 그것은 200만년전의 우리은하의 모습이라는 겁니다. 마찬가지로, 지금 보이는 안드로메다 은하는 200만년 전의 모습이겠지요.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3&dirId=314&docId=46718024&qb=7Jqw66as7J2A7ZWY6rOE7J2YIOuzhCDqsJzsiJg=&enc=utf8&section=kin&rank=3&search_sort=0&spq=0&pid=S4y2jspySE4ssvvERHdsssssstG-051290&sid=VIy0DwpyVlkAAHfvQU8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