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씨는 "송전탑이 준공되고 시험송전까지 되면서 외부에서는 갈등이 잘 마무리된 것으로 안다"며 "아직 200명이 넘는 주민이 (송전탑 설치와 보상에) 동의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한 평 프로젝트'(밀양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을 예약 구매하고 농작물을 공급받는 프로젝트)와 '미니팜'(송전탑 반대 주민, 지지자로 이뤄진 협동조합) 등을 통해 도시민과의 연대를 모색하고 있다.
지난달 26일 한전의 시험송전 소식이 전해지면서 현장 농성도 다시 시작됐다. 115번 송전탑 주변에 설치된 펜스 앞에서 주민들은 목에 밧줄을 걸고 기습 시위를 벌였다. 지난 7일 한전과 주민 간의 대화가 재개됐다. 하지만 한전 측은 주민들이 요구하는 '본격 송전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재산·건강상 피해 보전을 전담할 실사 기구' 설치를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박씨는 "모든 것을 잃었다고도, 이미 끝난 이야기라고도 생각하지 않는다"며 "쌍용차 해고 노동자나 용산 참사 등 남의 일이라고 생각하고 넘어갔던 부조리들을 다시 보게 됐고 세상을 보는 눈을 가지게 됐다. 밀양 송전탑 문제를 통해 우리 사회가 사회적 갈등을 조율하는 해법을 고민하게 되길 기대한다"고 소망을 전했다.
글 사진 밀양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