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부패 털어내다보니 남는건 대학교수들 뿐
기사입력 2015-02-09 17:39
![]()
중국 정부가 최근 잇달아 대학교수들을 고위직에 임명해 관심을 끌고 있다.
반(反)부패 정책을 추진 중인 시진핑 정부가 공직사회 개혁 차원에서 인사 실험을 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다음달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앞두고 중국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고위직 인사가 한창인 가운데 9일 베이징시가 시위위원회 부비서장에 궈광성 전 베이징공업대학 총장을 내정했다. 화학을 가르친 그는 2010년 베이징공대 총장을 역임했다.
이에 앞서 지난달 말에는 천지닝 칭화대 총장(51)이 장관급인 환경부장에, 허우젠궈 중국과기대 총장(55)이 차관급인 과기부 부부장에 임명됐다. 또 취싱 국제문제연구원 원장은 주벨기에 대사에 내정됐다.
대학교수 출신이 잇따라 고위직에 등용되는 것과 관련해 홍콩경제일보는 9일 “시진핑 정부의 새로운 인사정책이 드러나고 있다”면서 “반부패와 전문성 강화를 동시에 추구하는 일석이조 전략”이라고 보도했다.
실제로 이번에 발탁된 천 부장과 허우 부부장은 이미 학계에서도 전문가로 손꼽혀 왔다. 40대에 명문 칭화대 총장을 맡아 화제가 됐던 천 부장은 수질오염처리 분야에서 실력을 인정받았다. 영국 임페리얼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모교인 칭화대로 돌아온 뒤 지난 10여 년간 오염방지 관책 정부의 굵직한 프로젝트를 완수해 주목을 끌었다.
환경부는 대기질과 수질 개선을 최대 사명으로 하지만 그동안 중앙과 지방 정부가 경제성장률에 집착하느라 과감한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일이 많았다. 하지만 소장파 학자 출신인 천 부장은 공직사회 이해관계에 구애받지 않고 개혁 조치를 시행할 것이라는 기대가 높다. 허우 부부장 역시 40대에 과기대 총장을 맡은 화학 분야 전문가다.
대학교수들의 고위직 발탁은 공직에 만연한 파벌주의를 개혁해 비리 구조를 차단하는 효과도 있다. ‘관시(關係)’ 문화가 발달한 중국은 공무원 사회에서도 출신 지역과 학교에 따라 공무원들이 파벌을 형성해 기업들과 결탁하고 비리사슬을 맺는 경우가 많았다.
[베이징 = 박만원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