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의 종류와 기간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 지식iN

|

 

한한호인 한중사사(40kmyesm)
답변채택률76.2%
2015.01.24 09:21

답변 추천하기

마이지식 > 내 추천지식에
7일간 보관됩니다.

마이지식 확인하기

확인

닫기

질문자 인사

정말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1. 초상(初喪)과 삼우제(三虞祭)

1) 초상은 보통 3일장, 5일장, 7일장이 있음.

2) 삼우: 초우는 설단한/발인한 후에 묘를 만든날, 재우는 다음 날,

삼우는 그 다음날 산소에 찾아가서/또는 집에서 제사를 드림.

2. 삭망차례(朔望茶禮)

소상(小祥)과 대상(大祥)---탈상(脫喪)을 하고,

1) 소상은 1년 되는 날, 2) 대상은 2년 되는 날, 제사를 드림.

여자인 경우에는 1년으로 단축하여 탈상을 함.

3. 기제(忌祭/忌祭祀): 사당에서 신주를 모셔다가/보통은 지방을 써서 붙이고,

돌아가시기 전날 밤(한밤중) 11시부터 1시 사이에

드리는 제사(축문을 써서 읽음)

4. 절사(節祀): 명절에 드리는 제사

1) 설날 차례: 지방을 써놓고/신주를 모시고 지내는 제사(축문은 없음)

2) 추석 차례: 지방을 써놓고/신주를 모시고 지내는 제사(축문은 없음)

5. 시사(時祀): 음력으로, 9월 9일(중양절)

또는 10월 1일, 3일, 7일(?), 15일, 16일

겹치지 않도록 날짜를 잡아서 시사를 드립니다.

  한식 또는 단오날 하는 경우도 있음.

* 시사는 원칙적으로 제물을 만들어

산소에 가서 제사를 드리기도 하고,

재실 넓은 홀에서 제사를 올리기도 합니다.

* 율곡 이이 선생의 “격몽요결” 참조,

예기, 상례비목, 가정보감, 가정의례준칙 등 참고.

(홀기/식순, 축문, 지방 등은 직접 책을 구해 보심이 좋을 듯합니다.)

* 기독교에서는 매 모임마다

기도를 하고, 고인을 추모합니다.

예절지도사의 한 사람 씀

제사의 종류와 기간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 지식iN

And